1. ROE (자기자본이익률)에 대해서 알아보자!
- 주식/주식 용어
- 2020. 10. 27. 00:04
자기자본이익률 (Return On Equity)
: 높을수록 좋다. (하지만 ROE만 보고 투자해선 안된다.)
: 기업에 투자 된 자본을 사용한 기업의 이익창출능력
- 산출방식
(당기순이익/자기자본) * 100
A기업의 자본금이 1억인데
A의 당기순이익이 1천만원이 나왔다고 치면
1천만원/1억*100= 10%
예시)
A. 1억 투자한 빵집이 1천만원을 벌었다면 ROE 10%
B. 2억 투자한 빵집이 1천만원을 벌었다면 ROE 5%
A,B중 나라면 어떤 기업에 투자해야할까요?
- ROE의 함정 (잘못 된 정보로 이해 할 수 있음_부채도 자산)
: 여기서 왜 배당을 하거나 자사주를 매입하라고 하는지 알 수 있음. ROE↑
자본이 ↓ 같은 당기순이익 ROE↑
자본이 ↑ 같은 당기순이익 ROE↓
[ 만약, 배당을 안하면 자본이 커지기 떄문에 ROE ↓ ]
2018 | 2019 | 2020 | |
ROE | 12 | 14 | 16 |
자기자본 | 1000 | 1000 | 1000 |
총자산 | 3000 | 3500 | 4000 |
ROE 증가, 총자산 증가, 자기자본은 멈춰있다면,
우리가 지켜봐야 될 것은 바로 부채.
[결론적으로 부채로 인한 당기순이익 증가]
하지만, 좋은 영향의 부채일지, 악 영향일지
파악하기 어렵다면, 부채가 과도하게 높은 기업은
거르고 가는 것 또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
결론 : ROE가 높다고 무조건 투자하면 안된다!
이 글을 공유하기